문제는 총선 이후다. 반일이 계속되면 한국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고 국민 생활에도 현저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할 것 아닌가. 그런 사태까지 발생하면 사상 최초로, 즉 반일로는 설명 못하는 사태에 빠지게 될 것이고, 한국은 그때서야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다.
일본은 앞으로도 한국에 대해서 일본의 입장을 더 강하게, 의연하게 주장해야 할 것이다. 손쉬운 타협은 절대로 해서 안된다. 그럴 경우에 일시적으로 관계가 ‘개선’이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또 다시 같은 일은 반드시 반복된다. 여기서 일본이 쉽게 타협하지 않는 일이야말로 한일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일이다.
이제까지 일본은 한국에 의한 거듭되는 일본 비난이나 불합리한 요구에 대해서 후퇴하고, 또 침묵을 계속해 왔다. 일본이 너무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태도를 계속해왔기 때문에, 문제가 여기까지 커져 버렸다. 일본은 아베 정권이 들어선 이후에야 비로소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역사 문제에 있어서도 역사를 과장, 왜곡하는 한국 지식인들의 무책임한 언동 문제 뿐만이 아니라, 일본의 소위 ‘양심적 지식인(良心的知識人)’의 왜곡된 역사관도 마찬가지로 이 문제를 커지게 한 원인이라고 할 것이다. 이른바 징용공 문제에서도, 또 위안부 문제에서도, 이들은 사실이 아닌 것을 선전하고 한일 양 국민에게 큰 오해를 불러 일으켰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서도, 아베 정권은 의연한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아베 정권은 징용공 문제에 대해서 문 정권에게 한일 청구권 협정의 준수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당연하다.
필자는 장기적인 한일 관계를 생해본다면 오히려 보다 더 빠른 시기에 일본 측이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했었더라면 좋았으리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와 같이 문 대통령의 불합리한 요구에 아베 수상이 굴복하면 건전한 한일 관계는 앞으로도 구축될 수 없다. 그 점에 있어서 필자는 앞으로의 한일 관계에 대해 낙관적이다.
한국에서도 반일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실은 현재 한국에서도 “반일은 한국의 국익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일반 국민, 정치인이 확실히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보수정당인 자유한국당 정유섭(鄭有燮) 의원, 나경원(羅卿瑗) 원내대표 등은, 문 정권의 반일에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필자는 재작년 9월에 ‘위안부와 노무동원 노동자 동상 설치에 반대하는 모임’을, 작년 10월에는 ‘반일 민족주의에 반대하는 모임’을 창설했는데, ‘반일 민족주의에 반대하는 모임’의 회원은 이미 1,000명을 넘었다. 회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일본에 가보거나 일본인 지인과 교류를 해보니, “(그렇게 새로이 알게 된 사실은) 한국 교과서에서 배운 것과 전혀 다르다”고 말한다.